개요: 전용통신 서비스는 FEnet I/F 모듈에 내장된 프로토콜로 PC 및 주변기기에서 PLC내의 정보 및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서비스 이다.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버 동작하게 되며 외부 기기나 PC에서의 XGT 프로토콜이나 모드버스 TCP 프로토콜을 따르는 메모리 읽기, 쓰기 요청이 올 경우 응답합니다.(XGT전용 드라이버와 모드버스 TCP 드라이버 지원)
FEnet I/F 모듈의 XGT 전용 드라이버를 위한 TCP포트 2004와 UDP포트 2005를 이용하고 있으며, 모드버스 TCP 드라이버는 TCP 502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한 점 단위로 저장되거나 읽어올 수 있는 디바이스로 P, M, L, K, F, T, C, S 등이 있습니다.
비트 데이터를 액세스하기 위해 한 점(비트) 단위로 지정해서 사용. 이때 가장 아래 자리는 16진수로 표기
ex) P00000
[그림1]워드표현 비트표현(16진수 표현)
-[그림2]워드디바이스는 10진수 표기, 비트No는 16진수료 표기
ex) D0010의 두번째 비트 = D0010.1
D0011의 b10 비트 = D0011.A
1)니블 /바이트 데이터(NIBBLE / BTYE)
-.니블과 바이트는 XGT에 새로 추가된 데이터의 종류로 각각 명령어 이름 뒤에 4나 8이 붙은 명령어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니블과 바이트의 시작 비트를 입력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고 입력한 접점부터 4/8 비트가 처리할 데이터 가 된다.
1)표현범위
-니블 : 0~15 (4비트)
-바이트 : 0~255 (8비트)
2)사용방법
2.정수 데이터
1)워드 데이터(WORD)
-.16비트의 수치 데이터를 말한다. 10진수와 16진수로 할 수 있고, 16진수로 표기할 경우에는 숫자 앞에 H를 붙인다.
2)더블워드 데이터(DWORD)
-.더블워드 데이터는 32비트의 수치 데이터를 말한다. 표기방법은 10진수와 16진수로 할 수 있고, 16진수로 표기할 경우에는 숫자 앞에 H를 붙인다.
3.실수 데이터 (REAL, LREAL)
-.실수 데이터는 32비트/ 64비트 부동 소수점 데이터를 말한다. 여기서 32비트 부동 소수점 데이터를 단장형 실수, 64비트 부동 소수점 데이터를 배장형 실수라고 한다. 표기방법은 10 진수형태(소수점 표현)로만 가능하고 워드 디바이스와 비트 디바이스 모두 사용 가능하다.
4.문자 데이터
-.응용 명령 중에 문자열 관련 명령어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타입으로 숫자, 알파벳, 특수기호 등을 아스키 코드의 형태로 저장한다. 또한 한글, 한자 등 16비트 코드를 요하는 문자열도 사용 가능. NULL(h00)가 나올 때까지를 하나의 문자열로 취급하며 문자열 최대 길이는 32바이트(NULL 포함)까지 사용가능. 즉, 영문 31글자 , 국문 15글자까지 사용 가능하며 혼합 사용 가능.